728x90

대학원 관련 기록 15

plate별 추천하는 cell 양, 배지 볼륨 공유

오늘은 실험을 사용하는 플레이트별로 배지나 용액의 양이 몇 ml이 적당한지 알려 드릴게요plate volume! 저희 실험실에서 제가 사용했던 양이고, 직접 실험을 한 두 번만 해 보시면 바로 어느 정도가 적당 할지 느낌이 오실 겁니다그래도 한 번도 실험을 안해봤거나 초반에 시행착오를 줄이고 싶은 분들이라면 참고 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1. 6well plate기본 : 2ml,  최대:4ml (비추) Hek293 기준 10 만cell2. 12well plate기본 :  1mlHek293 기준 4만 cell3. 8well plate기본 :  200uLHek293 기준 1.3만 cell4. 24well기본 : 500uLHek293 기준 2만 cell5. 96well plate기본 : 100uL 대략 이정도 p..

Cell seeding 하는 법

안녕하세요, 란테입니다. 졸업하고 한참~뒤에야 작성하는 셀 시딩하는 방법, 셀 개수 세는 방법입니다.재학당시에 찍어둔 사진이용해서 설명드려볼게요~ Cell seeding, cell counting , 셀 깔기, 셀 시딩, 세포 수 세기 다 같은 말인거 아시죠~?ㅎㅎ꼭 동물세포 아니더라도 미생물도 유사한 방식으로 셉니다!저는 동물세포 이용해서 실험진행했어서 배지 색이 붉은색이에요~ 방법. 함께 해봅시다1. 필요한 총 세포 수 계산하기Cell seeding (셀 깔기)를 위해서는 먼저 얼마만큼의 세포를 쓸껀지, 나는 지금 얼마만큼의 세포가 있는지 세포수를 세어서 알아야겠죠?실험실마다 다르겠지만, 이번에 제가 사용할 well은 8well plate로 한 칸에 1.3만cell 이면 충분했어요. 4칸만 채워볼게요..

[란테의 대학원가기] 5편 : 자기소개서 & 학업연구계획서 쓰는법

란테의 대학원가기 시리즈 는 22년도 전기 대학원에 입학했던 본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모든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세세하게 작성한 글입니다!1편부터 5편까지 있으니까 천천히 읽어보시고 많이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컨택도 중요하지만 컨택보다 더 중요한 거는 자기소개서 라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컨택은 정해진 양식도 없고 공식 절차도 아닌 반면에,자기소개서는 정해진 양식이 있고 평가를 받는 것이기 때문인데요실제로 컨택없이 대학원 입학한 사람 있어요 나야냐,,,ㅎㅎ​​대학교 자기소개서는 많은 사람들이 쓰고 전문성을 요구 하지 않지만, (고등학생에게 많은 것을 요구하지는 않죠) 대학원 자기소개서는 전문적이고 디테일을 요구하기 때문에 작성하게 훨씬 더 어렵다고 생각해..

[란테의 대학원가기] 4편 :컨택 면담부터 구술면접까지, 실제 사례로 이해하기

란테의 대학원가기 시리즈 는 22년도 전기 대학원에 입학했던 본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모든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세세하게 작성한 글입니다!1편부터 5편까지 있으니까 천천히 읽어보시고 많이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대학원 가기. 타대로 갈 때를 기준으로 ​랩 정하고컨택하고컨택 후 교수님 자체 평가 (면담, 인턴 등)스펙 쌓기 (시간벌기용)자기소개서 & 학업연구계획서구술면접 ​의 과정이 있죠? 앞의 랩 정하고, 컨택하기, 인턴 하기 등의 글은 1, 2, 3 편을 통해서 적었어요 (링크 제일아래에)​이제 나머지 스펙, 자기소개서 & 학업연구계획서, 구술면접 이렇게 3개 에 대해서 다 합친 글을 적어봤어요​저는 식품공학과를 지원했었지만, 결국 지금은 생명과학과 쪽이라서 적나라하게 ..

[란테의 대학원가기] 3편 : 컨택용 자기소개서 쓰는 법

란테의 대학원가기 시리즈 는 22년도 전기 대학원에 입학했던 본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모든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세세하게 작성한 글입니다!1편부터 5편까지 있으니까 천천히 읽어보시고 많이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번에는 컨택메일에 들어갈 자기소개서를 써보려고해요아래로 내려가시면 컨택 메일 답장은 어떤식으로 오는지, 어떻게 하면 읽씹 안 당할 수 있는지 등 자세하게 녹여놨어요!4. 컨택메일에도 씁시다 자기소개서​사실 컨택은 정말 많은 교수님께 하게 되잖아요일단 처음만 해도 한 학교당 한 교수님께 하니까,, 답장 안오면 다른 교수님께 또 해야하고..그런데 그럴 때마다 다 자기소개서를 써야한다는 점이 좀 많이 귀찮긴 해요​다른 분들은 컨택 된 후에 면담갈때 자소서 들고 갔더니..

[란테의 대학원가기] 2편 : 컨택 메일 쓰는 법

란테의 대학원가기 시리즈 는 22년도 전기 대학원에 입학했던 본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모든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세세하게 작성한 글입니다!1편부터 5편까지 있으니까 천천히 읽어보시고 많이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란테의 대학원가기 1편에 이어서 2편은 메일을 쓰는 법을 자세하게 적어볼게요(연구실 선택이나, CV & 이력서 작성에 도움이 필요하신 분은 제일 아래 링크 타고 1편도 보세요) 먼저 저는 컨택 메일을 쓸 때 총 3가지를 첨부해요이력서 + 성적 ( 학점 + 영어 두개) + 자기소개서  그리고 아래 적을 문장은 간결하고 간략하게 핵심만 담아서 잘 써야해요!3. 메일 작성을 해봅시다​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뭐라고 쓰여있는지를 슬쩍 보고 첨부파일에 다른 자..

[란테의 대학원가기] 1편 : CV & 이력서 작성, 연구실 선택하는 법

란테의 대학원가기 시리즈 는 22년도 전기 대학원에 입학했던 본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모든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세세하게 작성한 글입니다!1편부터 5편까지 있으니까 천천히 읽어보시고 많이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에 정리했던 글 (2022년도 작성)을 그대로 옮겨왔어요 //일방문자 00명인 블로그 치고 엄청 많이 사랑해주셔서 다시 작성해봅니다안녕하세요!종강하고 겨울방학 초반 이쯤이면 한참 대학원 준비 많이들 생각하시죠?그래서 오늘부터는 대학원 진학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도 첫번째 단계인 "컨택"에 대해서 정리해보려해요​먼저 컨택은 공식적인 입시 절차가 아닌,, 약간의 편법 같은 느낌의 제도 아닌 제도임으로 어떤 것에도 정답은 없습니다. 컨택을 하지 않고도 ..

대학원 가기 최종, 컨택 후 면담& 인턴 & 원서접수부터 구술면접과 최종합격까지. 내가 알아봤던 총 8개의 랩에 대한 이야기 (2)

글이 길어지는게 싫어서 두개로 나누었어요! 이 글과 이어지는 글은 링크 걸어둘게요ㅎㅎ https://brillanteme.tistory.com/23 두번째로는 D 대학교 식품공학 분야에서는 거의 제일 유명한 학교에용 어흥..ㅋㅋㅋ 저는 컨택이 의미 없는 교수님4 께 21년도 3월에 컨택을 했고, 바로 줌으로 면담을 했어요 줌에서는 우리 랩을 어떻게 알고 지원했는지, 무엇이 하고 싶어서 지원헀는지, 우리 랩이 뭘 하는 지 아는지 를 위주로 물어보셨고 실시간으로 영어로된 논문을 주시고 직독직해 시키셨습니다. 영어 한문장씩 읽는거는 속으로하고 해석만 한글로 부르라고 하셨어요 덕분에 멘탈이 탈탈,, 그때는 이정도면 교수님 자체 면접이 통과되어서 합격한줄만알고 좋아했지만.. 나중에 다른 학생들도 최소 두자리수....

대학원 가기 최종, 컨택 후 면담& 인턴 & 원서접수부터 구술면접과 최종합격까지. 내가 알아봤던 총 8개의 랩에 대한 이야기 (1)

이번 글에서는 대학원 가는 것에서 컨택을 빼고 나머지 전부를 자세하게 적을 생각이에요 대학원을 희망하시는 분이라면 타대에 가고 싶을 때 어떤 루트로 어떻게 가는지 이것보다 자세하게 알려주는 사람 없을거에요. 도움되실겁니다. 그리고 식품공학과라면 , 반드시 읽어보시길 바래요. 저는 쉽게 얻지 못했던 교수님 성향, 합격자들 스펙부터 제일중요한 면접 족보에 대한 정보까지 적어두었어요. 제가 원래 작성하던 네이버 블로그에서 요즘 감사하게도 많이 찾아주시는 컨택에 관련된 글에 이어서 2탄 같은 느낌으로 하나 더 작성해보려고 해요 https://m.blog.naver.com/jeana1108/222504120609 이거는 컨택에 대해서만! 엄청 자세하게 적어둔 글 입니다. 감사하게 찾아주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아..

세포 subculture, 계대 배양하는 법

subculturing, 계대배양 1. 노란색으로 변한 배지를 꺼내서 위에 배지를 석션, 버린다 2. PBS로 washing 해준다. 3~4ml (안하면 트립신으로 떨어지지 않음. FBS 가 트립신 작용을 막기 때문) 3. 트립신/EDTA를 100파이 plate 한 개당 1ml 따서 넣고 인큐베이터에서 37℃로 1~3분 정도 기다린다. (이때 손으로 plate 의 옆면을 탁탁 쳐주면 더 잘 떨어짐) (HEK 293의 경우 1분, HCT116의 경우 3분이 경험상 적합함) 4. 배지를 4~5ml 넣고 셀이 떨어지도록 파이펫팅처럼 해준다. plate에 셀+트립신+배지를 싹 따서 코니칼에 옯겨준다. (이때 배지 바닥을 긁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코니칼을 원심분리하고 아래 모인 펠렛의 양을 잘 보고 배지4ml..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