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레포트 모음집 8

미생물학실험 레포트 (5) :Yogurt 제조 및 젖산균 생균수 측정

Abstract본 실험은 요거트를 제조하고 젖산균의 생균수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시판중인 요거트를 streaking하여 관찰된 두 종류의 균을 gram staining하고 검경하였을 때 큰 colony로 배양된 균이 간균 형태의 Lactobacillus bulgaricus, 작은 colony로 배양된 균이 연쇄상구균인 Streptococcus thermophilus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샘플 1과 3에서는 커드가 생성되었고, 샘플 2에서는 커드가 생성되지 않았다. 최종 요거트의 생균수는 BCP 배지에 배양하여 확인하였으며 pH indicator가 산에 의해 노란색으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생균수는 3.6×10⁸, 2.19×10⁸, 5.8×10⁸ (CFU/mL)이며 일반 요거트에 비해 비교적 신맛이..

미생물학실험 레포트 (4) : 곰팡이의 현미경 관찰, Microscopic observation of mold

1. Abstract본 실험은 곰팡이가 핀 시료(고추장)에서 직접 곰팡이를 분리해 YM agar에 배양해보고 현미경으로 검경하는 실험이다. 우선 cover glass에 malt extract agar를 부어 굳히고 칼날로 잘라 정사각형 모양으로 만든다. 이후 시료에서 채취한 곰팡이를 접종하여 hollow glass 위에 증류수를 떨어뜨린 뒤 주변에 vaseline을 바른 후 뒤집어 배양한다. 이후 현미경으로 검경한다. 400배율에서 septum의 여부와 포자의 모습을 간략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검경 결과 곰팡이는 격벽이 없었고, 흩어져있는 포자는 확인 할 수 있었지만 균사체에 연결되어 있는 유선포자와 무성포자의 모습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를 통해서 본 실험에서 사용된 곰팡이는 Rhizopus속임을 확..

미생물학실험 레포트 (3) : 황색포도상구균의 계수, Enum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1. Abstract본 실험은 선택배지인 BPA 배지를 이용하여 Staphylococcus aureus를 배양한 뒤 생균 수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S. aureus는 사람의 손톱 등에서 잘 자라며 food-borne intoxication을 일으키며 egg yolk가 supplement로 함유된 BPA 배지에서 black colony, clear zone, opaque zone을 형성한다. 실험 방법은 0.1 g의 손톱을 9.9 mL의 증류수가 든 시험관에 넣고 10-6까지 serial dilution한다. 그리고 10-2부터 10-6까지의 희석용액을 loading하여 smearing하고 배양하여 colony를 counting한다. 10-2 희석용액에서 197, 221개의 colony를 관찰할 수 있었고..

미생물학실험 레포트 (2) : growth curve, 성장곡선

1. Abstract본 실험은 Escherichia coli를 이용하여 10분 간격의 O.D. 값과 생균수를 구하여 growth curve를 작성하고 generation time을 계산하는 실험이다. O.D.는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turbidity를 측정한 것이며 generation time은 한번 분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LB broth에 E. coli를 1%(v/v)가 되도록 접종 후 배양하면서 10분 간격으로 실험을 진행한다. O.D.값 측정을 위해 배양액을 취하여 600nm에서 측정 후 기록한다. O.D 값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generation time은 일반적으로 대장균의 경우 22분이지만 11.89분이라는 값을 구했다. 이 오차는..

미생물학실험 레포트 (1): Gram staining & Catalase test

1.1 Abstract본 실험은 배양된 균을 이용하여 Gram staining과 Catalase test를 하여 균이 Gram 양성균인지 음성균인지 확인하고 호기성인기 혐기성인지 관찰하는 실험이다. Gram staining은 Gram 양성균과 음성균의 peptidoglycan 층의 두께 차이로 인해 각각 다른 색으로 염색된다. Gram staining은 slide glass에 균을 도말하고 고정 후에 Crystal violet, Iodine, 95% ethanol, Safranin O 시약 처리를 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그 결과 Escherichia coli는 붉은색의 bacillus 형태로 발견되었고 Pediococcus acidilactici는 보라색의 coccus 형태로 발견되었다. Catala..

MTT assay & cell counting : 식품면역학실험 레포트 (2)

1. Introduction 1.1 MTT assay 의 원리 -MTT는 4.5-디메틸디아졸-2-일-2,5-데페닐테르라졸리움 프로미드으로 담황색을 띄는 물질입 니다. 세포의 증식과 성장 및 사멸도 등의 세포활성을 측정하는 MTT assay에 사용됩니다. 또 이 방법은 식품의 기능성 성분과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에 널리 응용되고 있습니다. -MTT분석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효소 활성에 근거하며 이 효소에 의해서 황색의 수용성 MTT 테트라졸름, tetrazolium의 ring 구조가 끊어진 청자색을 띄는 비수용성 의 MTT formazan으로 환원되어 청자색의 불용성 MTT 포마잔으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합니 다./이때 생성된 포마잔의 양과 이로부터 보..

Transformation: 분자 생물학 실험 레포트 및 공부 (1)

※쓰다가 단위가 잘못됐다는걸 알았지만 이 자료를 참고하실 똑똑이들은 알아서 잘 보실꺼라고 생각합니다..하하※ 1. Transformation 2. Abstract 이번 실험은 bacteria 에 Pks(-), PACYC 184 플라스미드를 넣어서 형질전환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실험에 사용된 Pks(-)와 PACYC 184 에는 Ampicllin과 chloramphenicel 항생제에 내성 유전자가 있어 실험에서 성공적으로 transformation 된 bacteria 는 각각의 항생제가 있는 배지에서 살아남을 수 있고, 우리는 살아남은 CFU를 계산해서 효율을 구할 수 있었다. 그렇게 구한 본조의 효율은 Pks(-)=1.83*10^6 CFU/ug DNA , PACYC184=1.83 *10^5 CFU..

animal cell culture: 식품면역학실험 레포트 (1)

1. Introduction 1.1 Cell line과 Primary cell의 차이 Primary cell은 실제 생물에서 얻은 세포로 예를 들어 쥐에게서 비장을 떼어낸 후 갈아서 얻은 세포를 말한다. 이러한 Primary cell은 생명체 밖 즉 실험실에서 길게 생존하지 못한다. 그래서 실험실에서 생존할 수 있고 계속해서 증식 할 수 있도록 임의적으로 변화를 일으킨 세포를 Cell line이라고 한다. Cell line은 어떻게 보면 암세포처럼 무한히 증식을 할 수 있는 세포이기 때문에 기존의 Primary cell과는 완전히 같다고 보기는 힘들 수 있다. 실험에 필요 한 Cell line은 구매해서 사용한다. +가장 중요점 subculture (계대배양)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양이 가능한지 (라고 코..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