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과 지인의 지인에게 힘들게 얻었던 인터뷰에요
사실 별 내용 없는데 그래도 도움되실분이 계실 것 같아 올립니다
제가 학부2학년때 딴 인터뷰구요, 선배 A, B 모두 식품공학관련 석사 후 식품회사 연구직 으로 취뽀하셨습니다.
식품업계가 작아서 누군지 금방 알기 때문에 유추가 가능한 정보는 블락했습니다 이해해주세요!
A선배
Q1. 대학원 진학의 계기가 궁금합니다.
A1. 식품연구원이 하고 싶어 진학했기 때문에 대학원이 사실상 불가피했습니다. 시간을 돌린다면 피트미트 등 다른 것도 고려해볼거예요.
Q2. 어떤 랩실에 계셨고, 또 그 방을 선택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아직 딱 이거다 하는 분야가 없어서요. 아직 전공기초과목들 위주로 수업을 듣다 보니깐 제 적성에 어떤 과목이 적합할지 감이 안 오더라구요.. 어떻게 선택하셨나요?
A2. ****실험실
TG를 구성하는 fatty acid의 조성을 효소적 방법을 통해 재구성하는 실험, 유지 속 기능성 성분을 추출형태 별로 비교하는 실험, 다양한 식품의 지방산 조성 및 기능성성분분석을 주로했습니다
희귀전공임, 취업엔 경우에 따라 나름 메리트가 있을 수 있지만 매우 한정적, 범용성은 미생물 분석이 최고예요
Q3. 대학원생의 주요 업무 및 하루 일과가 알고 싶습니다.
A3.실험x100, 대부분의 식품랩실은 학문적 성격보다 노동착취적 성격이 강합니다(연구과제로 돈따야해서)
논문연구 5: 과제연구 5 (80%는 고등학생 데려다 2주만 시켜도 다할수있습니다.)
Q4. 학점 최대한 높이기, 여름방학에 미리 가서 랩 생활해보기를 제외하고, 또 필요한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영어 성적이라던지 등등이요!
A4. 정말 대학원을 굳이 꼭 반드시 가야하는지 다른방법은 없는지 오만번 고민하기
Q5. 다시 학부생으로 돌아가도 석사과정을 하실 생각이 있으신가요?
A5. 결과론적으로는 배운 걸 한달에 한번 정도는 쓰고 연구원 생활에는 석사를 해보는게 좋기때문에 돌아가겠으나 그 랩실이어서 취직한 건 아니었습니다. 평생 교수님은 다시 안보고 싶고 99% 대학원생들이 동의함
Q6. 보통 석사 때 쓴 논문으로 관련 분야 취업을 하는지 아님 논문 내용과 상관없이 학위로 취업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A6.1g도 관련없습니다. 교수님이 갑자기 비식품쪽으로 방향을 틀어서 저의 졸업논문은 실험방법은 같지만 반응물은 식품과 전혀 관련없었습니다.
B선배
Q1. 학부 취업을 안하고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게 된 이유
A1. 1) 학부취업은 잘 안된다고해서 고민 2) 직무생각해봤을때 연구직이 잘 맞을것같기도 했고 미생물을 좋아해서
Q2. 주요 업무 및 하루 일과(+근무시간도)
A2. 실험계획세우고(세포실험시 세포상태확인후 계획세움)-실험-중간중간논문도읽고-일주일에한두번은실험실회의나 교수님 미팅 or 세미나
개인논문연구+일들어온거같이나눠서빨리끝내기도+교수님따오는과제에 따라 할일이 달라져+컨택시교수님께 연구주제 물어볼수도 있어+9시부터6시까지 공식근무시간이여도 늦게퇴근할때많음 + 막학기는 실험보단 취준하느라 바쁨+가끔가다 며칠간밤새야하는경우도있긴함(매일은아니여도)
Q3. 랩별로 급여? 는 어떻게 되나요 알바도 할 수 있을까요?
A3. 대학원다니면서 알바하는사람은 간혹가다 있음/보통은 알바거의 안함/ 랩 바이 랩이지만 보통 생활비 주심
Q4. 취업/업무 수행에 필요한 필요한 지식/기술/능력
A4. 창의성보단 꼼꼼하고 계획적이고 덤벙거리지않고 침착한 것이 중요. 실험 진행을 하려면 공부를해야해서 공부를하게됨. 처음에는 실험보단 논문읽는 시간이 더 많음
Q5. 학부생때 하길잘했다/못해서 후회된다 하는 일이 있다면?
A5. 실험수업 많이 들은건 잘한듯 / 실험수업들으면서 공부했던것도 많이 써먹음 / 전공전공공부심화적 안한 것…결국엔 다시 책찾아서 공부하게됨
Q6. 어느랩인지에 따라 취업에서 지원분야 달라지는지, 영어 실력이 많이 중요한지(실제로 일할 때 혹은 입사시 가산점있다던가)
A6. 회사마다 다르긴한데 영어엄청중시하는 곳도 있음..보통 제약쪽이 그럼. 식품은 건강기능식품 그쪽에서는 중요할수도…왠만한 식품기업에서는 회화능력 안보는 곳도 많음. 성적도 안중요하다는 곳도 많음. (연구원이 외국인 등) + 영어논문읽을수있는정도는기본이고 + 영어성적은남들만큼은있어야하니까 기본으로 필요
Q7. 위생사, 식품기사 말고도 식공 졸업했다면 꼭 따야하는/따면 좋은 자격증/실제로 따신 자격증?
(컴활, 토익, 토플, 한국사 등이 필요할까도)
A7. 토익,토스,한국사는 함/ 제과제빵, 한식조리사 자격증 있으면 우대해주는 곳도 있긴함.
'대학원 관련 기록 > 대학원, 어느 랩실에 어떻게 진학하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란테의 대학원가기] 2편 : 컨택 메일 쓰는 법 (0) | 2025.01.10 |
---|---|
[란테의 대학원가기] 1편 : CV & 이력서 작성, 연구실 선택하는 법 (0) | 2025.01.09 |
대학원 가기 최종, 컨택 후 면담& 인턴 & 원서접수부터 구술면접과 최종합격까지. 내가 알아봤던 총 8개의 랩에 대한 이야기 (2) (6) | 2022.02.26 |
대학원 가기 최종, 컨택 후 면담& 인턴 & 원서접수부터 구술면접과 최종합격까지. 내가 알아봤던 총 8개의 랩에 대한 이야기 (1) (25) | 2022.02.25 |
식품공학과 대학원 랩실 여름방학 인턴 일기 (0) | 2022.02.14 |